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Non IT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장 지글러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카테고리 정치/사회
지은이 장 지글러 (갈라파고스, 2007년)
상세보기

   거봐, 경제학, 다 구라라니까 
 
   고등학교 경제학 교과서, 대학에서 배운 맨큐의 경제학 1장,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 등에서 모두 같은 글로 "경제학"을 정의하고 시작한다. 이젠 외울 정도가 된 유명한 구절이다.

  "경제학이란 무한한 인간의 욕망과 유한한 자원 사이에서 효율적인 분배 방법에 관한 연구" 라고 할 수 있다.
 
 경제학이 완전한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를 잡은지도 100년이 넘은 것 같다. 산업혁명 시절, 아담 스미스가 "보이지 않는 손"을 이야기 한 때 부터 따져도 100년은 넘었을 테니까. 오늘날과 같은 풍요의 시대를 여는데 경제학은 분명 큰 역할을 감당해 왔지만, 정말 "효율적인 분배"에 기여를 해왔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의문이 남는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도, 여전히 우리는 기득권을 가진 자와, 기득권을 나눠 달라는 자의 싸움을 이야기 하고, 성장과 분배에 관해 해묶은 논쟁을 거듭해 오고 있었다.

   전혀 분배 받지 못한 사람들
 
   전쟁, 관료의 부패, 식민지 시대의 잔재, 교육의 부재, 기근과 홍수 등으로 인해 기아에 허덕이는 인구가 현재도 8억 5천만명이 넘게 있으며, 오늘날도 시체의 산을 이뤄가며 살아가고 있다. 이 비참한 현실을 두고, 그들이 바다 건너 먼 나라의 이야기, 혹은 핵무기나 개발하고 미사일이나 쏘려하는 악당들의 날라에 살고 있다고 우리는 눈을 감아버리고 있다. 우리가 성장과 분배를 이야기 하기 전에, 전혀 분배 받아 보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먼저 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가 다른 사람의 고통에 공감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우리는 이런 비참한 세계의 현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네슬레, 프랑스, 그리고 미국. 불의(不義)의 상징들
 
   한 나라의 군대보다 CIA가 강하다는 말은 미드 속에서나 나오는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다시 보니, 이건 엄연할 현실이었다. 프랑스가 자유와 박애로 상징되는 꽤 괜찮은 나라인줄 알았더니, 그들도 일본과 별 다를바 없는, 식민지 정복하고 다니던 나라며, 여전히 그 나라들에 엄청난 해약을 끼치고, 그 나라 개혁세력들을 암살하고, 군사 쿠테타를 지원하는 나라일 뿐이다. 결국,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나 프랑스가 오늘날 아프리카에서 벌이고 있는 일들이나 다를바가 없다는 뜻이다.

  네슬레. 네스퀵과 네스카페를 만드는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 그리고 자기들의 이득을 위해 칠레 아이들이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것을 방조하는 부도덕한 기업. 이들도 쓰레기다.

  "패스트푸드의 제국"을 통해, 자본주의가 극치에 이르를 때, 어떤 해악들이 벌어지는지를 모았었는데, 이젠 스케일이 더 커졌다. 부패하고 비대해진 독점거대자본에 의해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고 있고, 세계의 절반은 여전히 기아에 허덕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제학 이론과 정책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여전히 대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학문에 불과한 것을. 이런 불의한 세계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이 대한민국에서의 축복받은 삶을 얼마나 소중하게, 그리고 진지하게 살아나가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