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의 천안함 이슈리포트 안보리 제출에 붙여 |
2. 관련해서 블로그와 아고라를 살피던 중, 로젠버그 부부 사건을 들먹이는 글을 보았다. 글 쓰신 분의 요지는, 로젠버그 부부 사건이 유죄(사건 당시) - 무죄 (1990년대 초) - 유죄 (소련 붕괴 후, 비밀자료가 공개되면서) 로, 결국 그들은 유죄가 맞았다고 하면서, 천안함 사건의 의혹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통일 이후 북한의 비밀자료들이 오픈 되었을 때, 북한의 소행임이 명명백백해지면 과연 무슨 말을 할 것인가 라고 묻고 있었다.
3. 로젠버그 부부 사건은 그동안 많은 근현대사 역사책에서 공권력에 의한 사법살인의 대표적인 예로 알려진 사건이다. 프랑스의 드레퓌스 재판과 함께 가장 유명한 사건이 아닐까 싶다. 다른점이 있다면, 드레퓌스 사건은 무죄로 결론이 났지만, 로젠버그 사건은 무죄가 다시 유죄로 뒤집어진 사건이다. 교황청까지 나서서 구명운동을 했던 사건이 사실은 진짜 스파이를 옹호했던 잘못된 일로 결론이 났다는 점이다.
4. 역사책에는 - 세계사, 국사를 막론하고 - 대중여론에 의한 잘못된 판단의 기록이 나온다. 앞서 예를 든 드레퓌스 사건과 로젠버그 부부사건 외에도, 토마스 모어의 처형, 중세 유럽의 마녀사냥, 수지 김 간첩사건, 인혁당 사건, 만주사태, 운요호 사건, 통킹만 사건, 광주민주항쟁, 이라크 전쟁 등등. 얼른 얘를 들어도 10여건이고, 자세히 찾으면 수 십건은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항상 힘있는 자에 의해 그럴 듯하게 꾸며졌지만, 장구한 인류의 역사에서 한 걸음에 불과한 시간만 떨어져서 다시 바라보면, 전혀 다른 결론이 나기도 했고, 또 한걸음 떨어져서 바라보면 다시 결론이 달라지기도 했다. 너무나 눈에 보이는 거짓말을 하면서도, 또 그런 거짓말을 비이성적인 판단과 근거를 가지고 믿는 사람들, 더 나아가 한줌 스러질 것 같은 근거로 사람을 죽이고 전쟁을 벌여온 사람들의 역사를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5. 그리고 마치 그런 일을 들어본 적도 없는 것처럼 또 다시 저지른다.
우리는 역사로부터 무엇을 배우는가 |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라 (로마서 14장 1절)
'Think about the Jus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예조 소속 연기자들의 미지급 출연료 44억원의 발생 원인이 박신양 때문인가? - 경향신문 시론을 읽고 (0) | 2010.10.09 |
---|---|
또 개발자들 밤샌다고 자랑하는 얘기인가. 이젠 역겹다 (14) | 2010.09.18 |
99.9% VS 1억분의1. 중앙일보, 논설이 아닌 소설을 쓰다 (1) | 2010.05.16 |
천안함이 정말 북한의 어뢰공격이라면, 규탄 성명은 더욱 군에게 망신 아닌가 (1) | 2010.05.16 |
청년유니온 노조 설립인가 또 다시 반려 - 무엇이 글로벌 스탠다드인가? (0) | 2010.04.18 |